고립의 시대
본문 바로가기
건강

고립의 시대

by 정보통신 30분전 2022. 4. 3.

고립의시대

저자:노리나 허트 지음/홍정인 옮김

154 남에게 우리를 보여주고 우리 존재를 확인받는 소소한 순간이 진정 중요한 순간이다

155 우리는 다른 사람과 함께 있지만 사실은 혼자다.

156 오늘날 학령기에 접어든 어린이 가운데 상당수가 기본적인 대인 관계 기술이 모자라고 나이에 비해 기초적인 언어 능력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161어떤 정서를 겪고 있는 사람과 한자리에 있을 때 우리가 그 정서를 알아차리는 것은 고통을 겪는 다른 사람의 정서와 표정과 경험이 관찰자의 뇌에 지도화 되기 때문이다.

169 휴대전화를 집어 들려는 충동에 저항하려면 큰 결단력과 의지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우리는 디지털 기기에 심하게 중독되어 있다.

177부모가 싸우는 모습 더 심하게는 가정 폭력을 보고 자란 자녀가 내성적이고 사람들 사이에서 불안해 하고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성향을 키우게 되는것과 같은 이치다.

분조가 만연한 유해 환경에서 지나치게 오랜 시간을 보내면 우리는 공격을 받는 당사작 아니어도 그 어느때보다 심하게 혼자라는 기분에 사로잡힐수 있다.

181소셜 미디어는 우리 시대의 외로움을 증폭시키는 또 다른 유해 요소가 있다. 우리의 사회적 지위를 공개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202일단 외로움이 확고한 정서로 자리 잡으면 사람들이 당신에게 말을 걸기 어려워한다. 당신도 남의 말을 닫지 않는다. 당신은 점점 스스로에게만 집중한다.

272 향후 수년간 전문직 종사자들이 자신들도 ai주도의 이 새로운 근무 환경에서 소모품처럼 쓰일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 고립감과 단절감이 피할수 없이 커질 것이다.

일본의 여성 연금 생활자 가운데에는 극심한 외로움 끝에 친구와 돌봄을 찾아 매장에서 물건을 훔치고 감옥에 들어가는 이들도 있다는 사실을 잊지말자

300정서적 al기술의 발전 덕분에 머지 않은 미래에 기계들이 인간의 복잡한 기분을 읽어내는 것이 가능해질것으로 보인다.

108외로움은 순수하게 개인의 문제일수 없다. 아울러 비록 로봇이 우리가 혼자인 느낌을 덜 받게 해주고 서로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고 해도 우리가 그 대가로 서로를 인간적으로 대하고 함께 관계 맺는 방식을 잃을수도 있다.

329청년 클럽이 문을 닫고 커뮤니티센터가 폐쇄되면서 갈수록 더 많은 도시인이 혼자 살게 되자 상업적인 공동체가 21세기의 새로운 대성당으로 급부상했다.

342 지난 몇 년간 우리가 목격한 상업적 공유주거 공간의 급격한 성장세에도 주목하자 미국에서는 몇 년후면 공유주거지의 수가 3배로 증가할것으로 추정된다.

345 어쩌면 이웃과 눈을 맞춘다거나 문을 잡아주는 정도의 작은 호의조차 귀할 정도로 도시에서의 고립이 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일지 모른다.

355공동체의 힘은 공유하는 열정이나 가치관에서 나오지만 사람들이 서로 진정한 유대감을 느끼기까지는 역시나 시간이 필요하다.

365만일 당신이 인스타그램의 도파민 쾌감에 중독되었거나 사무실 밖에서도 끊임없이 이메일을 확인한다면 가족이나 친구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은 그만큼 줄어들것이고 설사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한다고 해도 휴대전화 때문에 주의가 산만할 가능성이 크다.

366 자기 자신만 생각할 것을 부추기는 이 자본주의는 무관심을 일상화하고 이기심을 미덕으로 만들고 온정과 돌봄의 중요성을 축소했다 자력갱생과 더욱 분투하라를 외치는 이 자본주의는 공공 서비스와 마을 공동체가 역사적으로 인류의 번영에 중추적 역할을 해 왔음을 부인하고 우리의 운명이 오로지 우리 손에 달려 있다.

369정부는 로봇의 노동력 대체 속도를 늦추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하며 앞서 나는 이러한 조치로서 로봇세 도입을 제안하기도 했다.

370정부에서 할수 있는 일이 또 있다. 실업 문제를 외로움 완화에 특화된 새로운 노동력을 창출할 기회로 바꾸는 것이다.